먹망천 지도 이미지

먹망천 12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하천코드
9,033,021
하천명
먹망천
제1지류명
회천(지방)
제2지류명
안림천(지방)
하천구분명
소하천
하천지정근거명
소하천정비법 제8조
하천지정연월
2003-02
시점위치
가야면가천리
종점위치
가야면대전리
종점위치(위도)
36
종점위치(경도)
128
하천길이
1
관리기관명
경상남도 합천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12-05
제공기관코드
5,480,000
제공기관명
경상남도 합천군

블로그 리뷰

  • 먹망천 | 겸재 정선

    등장하는 왕망천은 당나라 대시인이자 문인화의 창시자인 왕유(699~759)를 가리킨다. 소동파(1037~1101)는 시와 그림이 모두 능한 왕유를 일컬어 ‘시중유화 화중유시(詩中有畵 畵中有詩)’, 즉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다.(詩中有畵 畵中有詩)”고 극찬했다. 그러고보면 인용한 시는 ‘그림과 시’와...

    노래하는 사람(2025-03-24 14:57:21)

  • 먹망천 | 위창 오세창, 간송 컬렉션의 감식과 근역화휘(2).. 간송미술관

    26.7 ​ 먹, 붓, 벼루, 문양이 새겨진 인장석, 작은 장신구를 담은 도자기, 다리가 긴 세 다리 고족향로 같은 문인의 서재에 놓인 기물들을 그린 책거리 그림이다. ​ ​ 조선 후기에 궁중이나 상류 계층에서 성행하며 제작된 <책거리>는 여러 물품을 그린 그림을 가리킨다. 이와 함께 많이 그려진 <책가도>는 서가와 같은...

    느티나무와 꽃사과..(2025-01-14 23:21:00)

  • 먹망천 | 인왕제색도(仁王霽色圖)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화가 겸재 정선(鄭敾, 1676~1759년)이 그린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로 국보 제216으로 지정된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비가 갠 후의 인왕산...筆墨法)이 잘 드러난 작품입니다. 우람한 바위와 웅장한 산세를 강조하고 먹의 농담(濃淡)을 활용하여 비 갠 뒤의 깨끗한 인왕산과 운무(雲霧)등을 잘...

    singingman(2025-03-29 10:07:00)

  • 먹망천 | 서화관[7]

    비단에 먹, 보물 호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서예가인 이광사의 글씨를 모아 엮은 서첩이다.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등 서예의 오체(五體)가 모두 실려...실경산수화에 시와 발문을 더해 열 폭으로 만든 병풍이다. 제2폭ㄷ부터 각각 도산서원(陶山書院), 안동부치(安東府治), 석문정(石門亭), 수동(壽洞), 망천...

    수연당 선산의 문화유산해설용 자료수집방(2025-04-02 17:29:00)

  • 먹망천 | 여유가 묻어나는 겸재정선 미술관 다녀왔어요 ♥

    독특한 먹의 운용 등 최고조에 이른 정선의 기량이 여실히 발휘되었다. 폭넓은 작품세계 Wide Range of Artworks 정선은 진경산수화 이외에도 중국의 망천과 여산폭포 등을 다룬 상상의 산수화를 비롯하여 성리학과 관련된 고사인물이나 소나 무, 목석과 화초 등의 그림에도 뛰어났다. 그중 백거이가 사랑 하여 수많은...

    알랑맨과 마요네쥬(2023-10-08 21:47:00)

  • 먹망천 | 2020-0902. 세종로라이온스클럽 서동영 접견

    붓, 먹, 종이): 필법+묵법을 혼용 .조선 성리학의 정착된후, 조선후기에 진경산수 그림이 등장 .남중국 문인화를 탈피: 남방화풍(묵법)~북방화풍(필법) .고려 충선왕(만권당, 주자학의 대가 조맹부 초청하여 학자들에 전수) 당송 3대 문인(저수량, 구양순, 우세남) 양 그림을 잘그렸던 조맹부, 충선왕 이제현(주자학...

    늘빛사랑 조흥식(2023-12-23 18:47:12)

  • 먹망천 | 중드 연화루 (뭔데 왜이렇게 좋은건데)

    연화루 후기 [내용 김. 두서없이 생각나는대로 적는거라 스포도 있을 수 있음] ​ ​ 우종살 이후 우연살 (혹은 우문살) ​ 내가 진짜 랑야방 보면서 우종살우종살 얼마나 외쳤는지 모른다.. 우리종주살려줘요 우리종주살아있다 진짜 우리 매종주님 절대로 살아있다고 아직까지 믿고 있는데. 내가 우연살 우문살을 여기서 다시...

    이게 나니까─*(2023-11-03 11:27:00)

  • 먹망천 | '조선 최고의 브로맨스' 겸재와 사천의 필살 ‘콜라보’

    등장하는 왕망천은 당나라 대시인이자 문인화의 창시자인 왕유(699~759)를 가리킨다. 소동파(1037~1101)는 시와 그림이 모두 능한 왕유를 일컬어 ‘시중유화 화중유시(詩中有畵 畵中有詩)’, 즉 ​ “시 속에 그림이 있고, 그림 속에 시가 있다. 시중유화 화중유시(詩中有畵 畵中有詩)” ​ 고 극찬했다. 그러고보면 인용한...

    김관동(2023-09-26 21:42:00)

  • 먹망천 | 왕유「적우망천장작」 2. 정선 <황려호>

    조선후기의 대화가 정선(鄭敾, 1676-1759)이 그린 대폭의 산수화 <황려호(黃驪湖)>이다. 이 그림은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동기창 그림 못지않은 혁신성이 담겨 있는 그림이라 할 수 있다. 정선 <황려호(黃驪湖)> 1732년경 견본수묵 103.2x47.3cm 서울 개인 제목부터 보면, 황려호라고 했으나 호수는 아니다. 황려는...

    오늘의 미술 한 스푼(2014-06-24 12:05:00)

  • 먹망천 | 조선시대 그림 (19)

    부벽루, 어천 사절정, 성천 강선루, 은산 담담정, 삼등 황학루, 영변 약산동대, 개천 무진대, 강계 인풍루, 의주 통군정을 그린 것. 망천시화첩. 작가 미상. 조선 후기. 종이에 먹. 중국 당나라 시인 왕유(699-759)가 친구 배적과 함께 자신의 별장이 있는 장안 부근의 계곡 망천의 20경치를 주제로 시를 짓고 그에 해당...

    호수 보기(2017-11-22 20:48: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