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천 지도 이미지

도덕천 18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하천코드
71
하천명
도덕천
하천구분명
소하천
시점위치
충청북도 충주시 명서리 619답
종점위치
충청북도 충주시 명서리 601-2답
종점위치(위도)
37
종점위치(경도)
128
하천길이
790
관리기관명
충청북도 충주시청
데이터기준일자
2024-11-30
제공기관코드
4,390,000
제공기관명
충청북도 충주시

블로그 리뷰

  • 도덕천 | 신교에서 뻗어나간 종교문화(유교,불교,기독교,선천종교)

    과 도덕천道德天, 그리고 운명천運命天의 개념으로 더 많이 언급하고 사후와 귀신의 문제는 언급을 꺼렸다. 이후 한 무제 때 유학자 동중서董仲舒가 『태백일사』 「삼한관경본기」에 나오는 “도지대원道之大原이 출호삼신出乎三神”이라는 신교의 가르침을 “도지대원道之大原이 출어천出於天”이라고 바꾸어 버림...

    WITH 달콤한 태을주(2024-12-24 11:32:00)

  • 도덕천 | [정리] 공자

    ③ 도덕천(인간 내면의 덕성의 근원) ⑵ 하늘과 덕의 관계 덕 천(天)이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으로 내재화 한 것 함의 인간은 자신의 내면 속에 선천적으로 부여된 덕을 밝힘으로써 천명을 알 수 있음 인간은 자기 본성 안에 있는,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선천적인 도덕성을 발휘하고 실현할 때 참다운 인간이 된다는 것...

    하루티의 하루하루(2025-03-17 23:04:00)

  • 도덕천 | 201. 유교의 나들이

    자연천과 도덕천, 그리고 운명천의 개념으로 더 많이 언급하고 사후死後와 귀신의 문제는 언급을 꺼렸다. ​ 또한 한 무제 때에 이르러 유학자 동중서가『태백일사』「삼신오제본기」에 나오는 "도지대원道之大原이 출어삼신出於三神" 이라는 신교의 가르침을 "도지대원道之大原이 출어천出於天" 이라고 바꾸어 버림으로써...

    #무극대도, #증산도, #환단고기, #개벽, #수행, #건강(2025-02-13 10:13:00)

  • 도덕천 | 신교에서 나간 유교

    자연천과 도덕천, 그리고 운명천의 개념으로 더 많이 언급하고 사후死後와 귀신의 문제는 언급을 꺼렸습니다. ​ 또한 한 무제 때에 이르러 유학자 동중서董仲舒(BCE 170?~BCE 120?)가 『태백일사』 「삼한관경본기」에 나오는 “도지대원道之大原이 출호삼신出乎三神” 이라는 신교의 가르침을 “도지대원道之大原이...

    대개벽의 물결(2024-01-15 08:10:00)

  • 도덕천 | [비문학 모임 4기] 4회, 신영복, <강의> 모임 후기

    현대는 후기자본주의 사회로 자본축적이 더욱 고착화된 상황입니다. 그러하기에 존재론적 사고에 기반한 서양 철학을 지양하고, 관계론적 사고의 동양 철학을 실천적으로 다뤄 볼 만한 시기라고 이야기합니다. 신영복 선생님은 관계론적 관점으로 동양 고전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해 현대 시대가 요구하는 근본 담론을...

    독서모임 아름(2018-12-31 15:51:00)

  • 도덕천 | 유•불•선 삼교의 뿌리는 무엇인가?:내포함삼교[內包含三敎]

    天, 도덕천道德天 개념으로 많이 이야기하였다. 공자 이후에 상제님에 대한 인식이 급속히 약해지면서 유교의 하늘은 점점 이법천理法天으로 변질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후 한 무제 때 유학자 동중서는 "도지대원道之大原 출호삼신出平三神"(「태백일사」「삼한관경본기」)이라는 신교의 가르침을 “도지대원道之大原...

    대한의 혼과 증산도(2022-06-25 23:04:13)

  • 도덕천 | 환단고기로 본 한민족 역사 이야기(84) - 신교에서 나온 유교

    天, 도덕천道德天 개념으로 많이 이야기하였습니다. 공자 이후에 상제님에 대한 인식이 급속히 약해지면서 유교의 하늘은 점점 이법천理法天으로 변질되기 시작한 것입니다. 그 후 한 무제 때 유학자 동중서董仲舒는 도지대원道之大原 출호삼신出乎三神[태백일사-삼한관경본기]이라는 신교의 가르침을 도지대원道之大原...

    청주 증산도, STB 환단고기로 본 한민족 역사이야(2017-11-05 21:34:00)

  • 도덕천 | 퇴계의 중용 해석과 그 특징 요약

    인간이 도덕천 실천을 통하여 天道의 誠과 聖人의 敎化에 합할 수 있다는 관점을 보인다. 여기에 인간의 실천 덕목으로 논의되는 것은 孝·五達道(君臣·父子·夫婦·兄弟·朋友), 三達德(智·仁·勇) 등 일상생활에서 실천되어야하는 덕목이다. 또 한편으로는 인성과 관련한 중화중용론, 천인 관계를 중심으로 하는...

    일석이(2021-12-02 14:53:05)

  • 도덕천 | 신교에서 나온 유교 1

    天), 도덕천(道德天) 개념으로 많이 이야기하였다. 공자 이후에 상제님에 대한 인식이 급속히 약해지면서 유교의 하늘이 점점 이법천(理法天)으로 변질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 후 한 무제 때 유학자 동중서는 “도지대원 출호삼신(道之大原 出乎三神)”(『태백일사』「삼한관경본기」)이라는 신교의 가르침을 “도지대원...

    염화미소(2013-03-03 11:11:00)

  • 도덕천 | 오늘도 배움이다

    천인 도덕천을 거부. 도덕적인 천 인격적인 천을 거부. 천은 자연이며 음양일 뿐. 천은 천명 천성 천리가 될 수 없다는 순자의 주장. 순자는 인간의 능동적 참여를 천명이라 함. 능참은 실천론자의 인본주의적 관점 순자, '지인이란 장자의 경우와 달리 천도와 인도의 구별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는 사람.' 하늘을 물리...

    소소한 일상(2021-11-08 03:04: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