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류인 관동천.반월천.한지천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천의 이름은 하천이 위치한 유치면의 지명에서 비롯되었다. 하천 유역의 모양은 중앙의 한 점에서 사방으로 바퀴살처럼 뻗은 형태의 방사형을 나타낸다. 유역 대부분은 산지이고, 하천 주변을 따라 농경지가 가늘고 길게 분포하고 있다. 하천의 형태는 산지부를...
작은 새벽안의 너와 나(2024-07-18 18:19:00)
조선 후기)로, 영산강의 퇴적과 더불어 17세기 중엽에 삼림이 제거되고 경사지가 훼손되어 주변 구릉지에서 유출되는 토사가 많아진 것이 간척지 매립을 촉진한 것으로 추정된다. 자연적인 퇴적 외에도 17-19세기에 인구 압박과 토지 수요 증가에 따라 저지대가 개간되어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었다. 인근 유지들이 주도...
블로그로 국내여행(2023-10-30 14:04:00)
조선 후기에 폐4군이 대체로 복구되는 것을 보아서 알 수 있다. 후주·무창과 같이 이곳에도 1683년(숙종 9) 다시 진이 설치되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15세기 중엽 자성군의 호구는 405호 2,576인이었다. [근 대] 1869년(고종 6)자성군으로 다시 환원하였는데 이때 군청의 소재를 옛날의 자작리(지금의...
북한 택리지_이북도민 인물기행(2023-01-04 22:20:00)
조선후기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에 의하면 소속 관원은 좌수 1명, 별감 2명, 좌영중군 1명, 천총 1명, 파총 2명, 기고관 2명, 교련관 2명, 초관 12명, 아전 30명, 통인 21명, 사령 17명, 군뢰 11명, 관노 43명, 관비 30명이었다. 또한 삼등현에 소속된 군인은 현군관 88명, 입번군관 185명, 군기군관 116명, 대동...
후무사(7월 자두) 과수원(2016-03-24 15:30: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