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해서 인공하천을 만들려고 했던 것이 굴포천의 시작이라고 하고 조선 후기 경인 간 운하 공사로 지금의 굴포천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고 한다. 자연과 이야기...표현한 말 흙을 파낸 개울이라는 뜻 발원지인 칠성약수터부터 목수통까지는 원통천(圓通川) 목수통에서 현재의 평동 일대까지를 직포천(直浦川) 평동부터...
사진으로 보는 민재의 성장일기(2025-06-09 19:44:00)
차이 후기> 계절의 순환은 어김없다. 어느새 가을로 접어들었다. 폭염은 아직도 기승을 부리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꺾일 기세다. 가을은 운동하기에 가장 좋은 계절이다. 9월 라이딩은 부천시, 시흥시, 인천광역시를 무대로 향연을 펼친다. 여정의 시작은 스머프 차 주거지에서 가까운 서울시 구로구에 위치한 온수역이다...
길품강품산품(2023-08-24 18:21:52)
원통골(원통천), 왼쪽은 압수골(압수천)으로 가른다 산길은 비교적 좋은데 산길 표지기는 하나도 못 봤다 그러나 산사람(?)의 흔적은 있다 양각산(뒷봉)과 고사리 점심 먹기 좋은 곳 압수골 건너 양각산 7부 능선 쯤의 4대조모님 이장터일 듯한 곳 양각산 위에 반달이 양각산과 압수골(압수천의 발원지겠지) 수통대교와...
양각산(2010-01-25 15:09:34)
조선 후기부터 이미 ‘태장(台庄)’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태장의 유래가 있다.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춘호(春湖) 류영경(柳永慶.1550-1608) 선생은 1550년(명종5년) 한양에서 출생하여 풍기 백곡(희여골) 창원황씨가에 장가들었다. 1597년(선조30) 정유재란 때 아들 오형제와 가솔을 데리고...
초암 이야기(2017-08-23 17:26:25)
조선후기까지 춘천군에 속한 소위 비월지였다는 사실이다. 기린면의 연혁(沿革)을 살펴보면 고구려(高句麗) 시대에는 기지군(基知郡)으로 불리웠으며, 신라(新羅)시대에는 문무왕(文武王) 13년(673)에 삭주(朔州)에 예속 되었었습니다. 고려(高麗) 시대 태조(太祖) 23년(940)에는 기린현(基麟縣)으로 명칭을...
여름날(2011-04-18 18:36:00)
개천이 흘렀습니다. 원통천이 흐르는 지점과 경인철도와 만나는 바로 그곳, 거기에 '백운쌍굴'이 있습니다. 이 백운쌍굴을 새롭게 단장했다고 해서 보게...많이 있는데요. '백운(白雲)'은 거문고와 시, 술을 좋아해서 삼혹호(三酷好) 선생이라고 불린 이규보(1168∼1241)의 호입니다. 이규보는 고려 후기에 활동한 문신...
부평구청 블로그 공감부평(2018-09-03 14:45:00)
조선 후기에 해안에 제방을 쌓고 일제강점기에 한강 제방을 만들면서 풍요한 벌판이 되었다. 고려 시대와 조선시대에 걸쳐 당시 관아가 있던 부평의 중심은 부평 도호부 부내면(府內面)이었고 오늘날의 계산동 지역이었다. '부평 읍내' 란 이곳을 가리켰다. ▶ 부평동 1914년 일제가 전국의 토지 측량을 끝내고 행정구역...
깊 은 생 각(2011-07-21 18:07: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