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에 와서 기자에 대한 많은 기록들이 만들어졌다. 현재 기자의 후손으로 알려진 청주한씨淸州韓氏의 경우, 1617년에 최초로 발간한 『한씨사적韓氏事蹟』과 1748년에 발간한 『청주한씨족보淸州韓氏族譜』에는 기자의 후손이라는 기록이 전혀 없었다. 그런데 1789년에 발간된 『청주한씨보淸州韓氏譜』에 기자...
북두칠성(2025-08-18 16:21:00)
선생, 장박천(張博泉)· 손진기(孫進己) 등이 대표하고 있다. ② 둘째, 고구리는 고대 조선 국가다. 이 파의 학자들은 고구리 나라는 스스로 세워진 것이고 중원왕조와 평 등한 외교관계를 가지고 있었다고 보고, 중원왕조의 책봉을 가지고 고구리의 승인이라고 보고 있으며, 중 원왕조와 고구리 사이의 전쟁은 침략과...
고천석, 공유경제사회Fourth Industrial Revolution(2025-05-23 19:48:00)
은사인 장박천교수의 은퇴로 금사를 맡은 저명한 학자로 금사교주작업을 한 전문학자이다. 2004년 중화서국에서 24사교주본인 금사를 출판하여 수찬한 것이 업적이다. 金史 200年의 歷史槪括 24사중의 금사는 금조의 역사개황과 역사지위를 가지는 관찬사서로 금국은 동북의 토착민족인 여진인들이 건국한 국가이다...
중국과 세계의 역사 인문 지리(2023-06-10 10:13:00)
조선 후기에 역사지리학을 연구한 실학자들, 그리고 일본인 역사학자들에 이르기 까지 오랜 기간 강화되고 그 타당성을 인정받아 온 학설일 뿐 일제 식민사학이라 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또한 위대한 고대사 주장의 근본적인 출발점이 “사이비 역사학의 강박관념”에서 나온다고 지적한다. 북한의 몰락시 중국에...
이제는 속으면 안된다(2020-08-31 11:41:00)
11) 장박천, 위존성 주편,『동북고대민족고고여강역』,p.381. 선행연구에 의하면 고구려 벽화에 대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연구가 변화되기 시작한 것이 1995년부터로, 1996년 이전의 연구는 고구려 문화와 중원 문화의 상관성을 부각시킨 반면, 동북공정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2년경 전후 고구려 문화는 본질적으로 중원...
金漢熙의 맑은샘漢文(2023-03-01 17:03:00)
과 장박천(張博泉)은 부여가 고구려의 문자명왕에게 멸망 당한 서기 494년 이후 부여의 유민들이 두막루를 건국한 것으로 파악하였다.[8] [9] 하지만 현대 중국의 학자인 쑨진지(孫進己, 손진기)와 간즈겅(干志耿, 간지경)은 두막루가 건국된 시기는 그보다 이전인 서기 410년 동부여가 고구려의 광개토대왕에게 점령된...
네오(2013-02-02 12:04:52)
1994년 장박천의 설을 지지하면서 현재 거의 모든 중국학자들은 홍산문화를 황제족의 문화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황제의 아들 소호가 동이족이라는 점에서 황제는 동이족일 개연성이 높다. 사마천은 『사기』를 중국 민족인 한족, 즉 하화족의 시조인 황제집단과 동이족의 시조인 치우집단의 싸움으로 시작하고...
임승택(2020-06-13 20:14:00)
사람은 장박천(張博泉) 전 동북사대 교수와 위존성(魏存成) 길림대 교수다. 장교수는 문헌과 이론 분야의 책임자이며, 위교수는 고고학 분야의 책임자로 되어 있다. 장교수는 한국 학계에는 잘 알려진 사학자는 아니지만 중국 학계에서는 만주 지역사 연구의 최고 권위자로 알려져 있다. 장교수가 주로 담당한 것은 총론...
hanscreator님의 블로그(2005-09-28 11:01:00)
보았고 장박천 박사는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원단과 땅에 제사를 지내는 방단(方壇)이라고 주장했다. 전광림은 이들 주장보다 보다 진전시켜 동산취 유적이 초기 사(社)숭배유적지라는 데 동의하면서 동시에 홍산문화인들이 몇 개 부락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던 천지, 조상, 산천 등 여러 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라고...
물고기자리...(2010-12-19 17:46: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